본문 바로가기

액티브시니어

치매환자 실종신고 연평균 1만 2797건

반응형

 

 

매년 100여명 사망자로 발견돼

 

한국사회가 고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치매환자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지난 2018년에서 2023, 가출인을 제외한 실종사망자 890명 중 치매환자 실종사망자 수는 566명으로 64.6%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실종사망자 3명 중 2명이 치매환자로 평균 100여명이 사망한 것이다.

 

 

치매고령자 실종을 예방하기 위해 경찰청 또한 지문과 사진, 보호자 인적사항 등을 미리 받아두는 지문 사전등록제도를 통해 보호망을 구축하고, 복지부는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스마트폰을 연동해 치매 환자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치매 체크 앱 배회 감지 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다.

 

실종된 치매환자를 발견하기까지 평균적으로 8시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미발견자는 24명에 이르며, 올해 6월 기준 5년 이상 장기실종자도 89명이다. 치매 노인 실종 신고는 201812131, 201912479, 202012272, 202112577, 202214527건으로, 지난해 20% 가까이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7017명에 대한 실종신고가 접수되면서, 지난 5년 대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혹 집안에서도 배회를 보이는 치매환자는 다음과 같이 대처할 수 있다.

 

배가 고픈지, 배변을 하고 싶은지, 통증이 있는지, 특별히 불편한 사항이 없는지, 지루한지, 불안한지, 지금 있는 장소가 너무 복잡해서 조용한 곳을 원하는 것인지 등을 점검하여 배회의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원인을 없앤다.

배회의 기간, 시기, 형태 등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언제, 어디서, 얼마나 그리고 어떤 형태로 배회를 하는지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면 대처하는데 도움이 된다.

환자에게 해가 되지 않는다면 배회를 허락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너무 덥거나 추운 환경, 익숙하지 않은 환경, 너무 시끄럽거나 조용한 환경, 너무 습하거나 건조한 환경, 너무 어둡거나 밝은 환경은 가급적 피한다.

시각적인 자극을 제공한다. 익숙한 물건, 가구, 사진 등으로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과거를 회상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장실, 부엌 등에 글자나 그림을 붙여 위치를 잘 알 수 있도록 한다.

대상자의 곁에서 함께 걸으면서 이젠 다리가 아프니 집에 가시지요.” “길을 잘 모르겠으니 집에 가서 알아보고 가시지요.” 등의 말로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면서 집으로 들어가기를 권한다.

대상자가 밖에 나가 길을 잃을 경우에 대비, 현관에 종 달기, 출입문 가리기, 미리 이웃이나 아파트 경비 원 등에게 대상자의 상태에 관해 양해 구하기, 경찰에 미리 연락해 두기 등이 도움이 된다. 목걸이, 팔찌 등에 대상자의 이름과 주소, 연락처 등을 기록하여 착용시켜 준다. 대상자가 화를 내거나 이를 떼어버리려고 할 때는 옷 안쪽 등 눈에 잘 띄지 않게 부착한다.

대상자가 배회 시 낙상이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집안을 어둡게 하지 않는다.

쉴 수 있는 장소를 곳곳에 마련하거나, 환경의 변화를 위해 밖에 나가기, 쇼핑센터나 시장에 가기, 집 주위를 같이 산책하거나 차를 타고 가까운 거리 돌아보기 등도 도움이 된다.

대상자가 익숙하고 좋아하는 것들 중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규칙적인 운동이나 산책을 통해 대상자가 신체적 에너지를 소모하게 함으로써 야간배회를 줄이고 수면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집 청소, 산책, 목욕 등 건설적인 일거리를 주며, 환경의 변화를 위해 밖에 나가거나 또는 쇼핑센터나 시장에 가는 것은 활력제가 되어 수면의 질도 향상시킨다.

고향이나 가족에 대한 대화를 나누어 정서적인 불안으로 인한 배회를 하는 환자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린다.

대상자의 배회가 너무 심한 경우는 전문의 처방을 받아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배회는 본인에게 해가 되거나 경계, 제한구역, 혹은 장애물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목적이 없거나 반복적인 보행 혹은 정처 없이 걷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어떤 배회는 목적이 있어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밖으로 나가는 길을 찾아서 집이나 익숙한 환경으로 돌아가려는 것이거나 자신이 편안하게 느꼈던 시절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이다.

 

환자마다 보이는 배회의 특성이 다르며, 같은 대상자에게도 상황에 따라 배회가 발생하는 상황이 다르다. 이에 따라 배회행동이 나타날 경우에는 대상자의 내면에 있는 해결되지 못한 요구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요구를 충족시켜 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반응형